국외작가 및 작품 이야기/창밖의 고요, 호퍼와 나의 밤

창밖의 고요, 호퍼와 나의 밤(3) - <Automat>

은달84 2025. 7. 13. 10:00
728x90
반응형

창밖의 고요, 호퍼와 나의 밤(3) - <Automat>

 

고요한 밤, 혼자라는 말 대신

늦은 밤. 불이 꺼진 거리,
창밖은 어둡고, 방 안엔 기계처럼 반복되는 조명만 남아 있다.

에드워드 호퍼의 《Automat》(1927)은
카페에 앉은 한 여인의 밤을 담은 그림이다.
그녀는 말이 없고, 고개를 숙인 채 찻잔을 바라본다.
우리도 그 순간을 멀리서 지켜본다.

이 장면은 너무도 조용해서,
오히려 그녀의 마음이 들리는 듯하다.

 

에드워드 호퍼 < Automat>

 


‘오토매트’라는 공간, 그리고 그 안의 침묵

그림 제목인 ‘Automat(오토매트)’는
20세기 초 미국에서 유행했던 셀프서비스형 카페 체인을 뜻한다.
벽면에 설치된 유리 칸에서 동전을 넣고 음식이나 커피를 꺼내 먹을 수 있었고,
직원이 거의 없는 자동화된 식당이었다.

호퍼는 이 낯선 ‘무인 공간’을 배경으로, 혼자 남겨진 한 사람을 그려냈다.
작은 테이블, 차가운 의자, 밝지만 텅 빈 조명.
그리고 식어가는 커피 한 잔.

그녀의 시선은 잔을 향해 있지만, 실제로는 아무것도 바라보지 않는다.


빛과 거울, 그리고 창

그림 속 유리창 너머로는 어둠만 가득하다.
밖은 보이지 않고, 안의 빛만 반사되어 되돌아온다.
그녀의 맞은편엔 아무도 없다.
그 자리는 비어 있고, 어쩌면 비워진 채 남겨진 것이다.

호퍼는 그런 공간을 아주 잘 안다.
사람이 있지만 외로운, 함께 있어도 혼자인 시간들.
그런 ‘도시의 고요’를 그는 담담히 그려낸다.


혼자인데, 이상하게 다정한

나는 이 그림을 볼 때
고독이 꼭 아프게만 느껴지진 않는다.
혼자 있는 그녀가 너무 쓸쓸해 보이지만,
동시에 너무 평온해 보인다.

그 모습은 어쩌면 하루의 끝을 지나는 우리 자신과 닮아 있다.
일과 감정이 뒤섞인 하루 끝에,
나도 그렇게 조용히 앉아 있었던 적이 있다.

가끔은 누구도 말 걸지 않는 장소에서
나 자신과 대화를 나누게 되는지도 모른다.


커피보다 느리게, 오늘을 지나간다

호퍼의 《Automat》은 단 하나의 시선, 단 하나의 움직임도 없이 밤을 보여준다.

그러나 그 침묵이 우리 마음 깊은 곳을 건드린다.
혼자 커피를 마시는 장면에서
나는 오늘을, 나의 감정을, 조용히 받아들이게 된다.

그날 밤, 그녀는 말하지 않았고, 나도 그랬다.
우리는 모두, 그렇게 하루를 지나가고 있었다.

 

 

📌 원본 링크 

https://commons.wikimedia.org/wiki/File:Automat-edward-hopper-1927.jpg

 

File:Automat-edward-hopper-1927.jpg - Wikimedia Commons

From Wikimedia Commons, the free media repository

commons.wikimedia.org

 

728x90
반응형